우리나라 조선산업은 지난해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의 37%를 수주하며 다시 세계 1위의 점유율을 탈환하였습니다. 특히나 고부가가치 선박과 친환경 선박 점유율에서 세계 1위라는 점은 한국의 조선기술의 우월함을 증명하는 결과였습니다. 이런 흐름에 맞춰 조선기자재를 제작하는 현대힘스가 상장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현대힘스라는 기업과 조선업의 전망을 체크해 보고 청약정보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현대힘스
현대힘스는 조선기자재를 전문적으로 생산하여 국내조선사에 공급하는 회사입니다. 선박블록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데 고도의 기술력과 공장 인프라, 고급기술인력이 필요한 산업입니다. 이 기업은 HD 현대 계열 조선기자재 전문업체로 설립되어 주로 HD 현대 계열 조선사들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현대힘스는 울산에 본사가 있고 포항에 1, 2 공장, 전라도 영암에 대불 1, 2, 3 공장 그리고 경주에 냉천공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 조선산업 특성
조선산업은 호황과 불황 사이의 사이클이 매우 길고 변동성이 타 산업에 비해 매우 크다고 합니다. 그리고 해운업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습니다. 해운업이 호황인 경우는 두 가지인데 하나는 세계 경기가 호황이라 해상운송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할 때입니다. 또 다른 하나는 노후화된 선박들로 인해 이용가능한 선박 수가 줄어들 경우입니다.
선박의 수명은 보통 25~30년 주기라고 합니다. 경기 변동이 적은 상황이라는 가정하에 적정 선박발주 수량은 선복량의 6% 내외의 꾸준한 선박발주가 적절하다고 합니다. 그러나 현실은 해운업의 큰 변동성 때문에 시장상황에 따라 선주들이 선박 발주를 집중해서 하게 되고 물량이 어느 시점에 많이 집중되는 듯합니다.
3. 탄소중립실현과 신조선 시장
기후온난화 극복을 위한 탄소중립실현을 위해 친환경 에너지를 사용하는 선박에 대한 관심과 수요는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LNG, 메탄올, LPG를 연료로 사용하는 친환경 선박의 범주에 드는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에서 한국이 세계 1위를 달성하였다고 합니다. 한국의 LNG 선박 기술이 중국과 일본을 앞서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 역시 중국의 추격세가 만만치는 않은 모양입니다.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조선업계에서도 100% 탄소저감이 가능한 암모니아 연료 엔진을 개발 중이고 24~25년 초쯤에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21년을 기점으로 선주들도 선박 발주를 많이 했고 주문한 선박이 인도되는 데는 2년 정도가 소요되기 때문에 24년에는 선주들이 투자를 잠시 미루고 관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업계에서는 분석하고 있습니다. 수주받은 물량이 많기 때문에 선주들의 관망세가 조선업계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합니다.
중요한 점은 노후화된 많은 선박의 교체 시기를 앞두고 있고(5~10년), 현재 친환경 선박에 속하는 LNG 추진선의 수주를 한국이 휩쓸었으며, 탄소중립실현을 위한 100% 탄소저감 연료를 사용하는 친환경 선박으로의 교체도 점진적으로 추진될 것이기에 조선업계가 상당한 기간 동안 장기호황을 맞이할 가능성도 있다는 점입니다.
암모니아 운반선 수요, 꾸준한 증가세…“LNG 수요도 대체할 것”
올해 국내 조선사가 수주한 암모니아 운반선 19척“운반선 외 암모니아 추진 엔진에 관한 관심도 높아”향후 20년 간 연평균 약 120척 발주될 것이란 전
www.etoday.co.kr
4. 현대힘스와 HD 한국조선해양
조선기자재 산업은 고객이 국내 대형 조선사들에 한정되어 있습니다. 현대힘스는 HD한국조선해양이 거느린 HD현대중공업과 현대삼호중공업과 밀접하게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는 현대힘스가 HD현대 계열 조선기자재 전문업체로 설립되었고 타 조선사 대비 요구되는 선박블록의 크기가 큰 제품을 생산하기에 최적화된 공장 부지와 공정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현대힘스는 두 업체의 최우선 기자재업체 고려 대상이며 수시로 생산계획과 수주계획을 공유하는 전략적 협업관계입니다.
참고로, 국내 3대 대형 조선사는 HD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한화오션입니다. HD한국조선해양 산하의 현대중공업 하나만의 규모가 삼성중공업, 한화오션과 경쟁할만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HD한국조선해양이 규모가 가장 크겠습니다. 현대힘스는 우량한 두 조선사에 선박블록을 공급해 온 검증된 기업입니다.
선박블록은 제품이 워낙 크기 때문에 대규모의 부지와 공장 시설이 필요하고, 고객사로 이송 시 물류비용이 엄청나기 때문에 원자재 수급처와 고객사와 지리적으로 좋은 위치에 자리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대힘스는 두 회사와 전략적으로 좋은 위치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또한 거대하고 두꺼운 철판을 용접해서 만들기 때문에 고도의 기술력이 요구되는 제품입니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진입장벽이 다소 높은 사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신규업체를 고려하기도 대단히 어렵고 신생업체로 뛰어들기에는 초기 투자 비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에 고객사와 기존 협력사 간의 관계가 매우 두터운 것 같습니다.
게다가 현대힘스는 이미 고객사들과 친환경 연료추진선 및 가스운반선용 독립형 탱크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공장을 설립하여 제작 계획에 참여하기로 협의가 되었다고 합니다.
5. 인력 수급의 문제
이는 모든 조선업종이 겪고 있는 문제입니다. 제작 공정 자체를 자동화할 수 없는 노동집약적 산업이기 때문에 고도의 기술을 가진 인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나 불황이 오래 지속되어 과거 전문인력들이 대거 다른 산업으로 이탈된 상황이기 때문에 인력 문제로 조선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부족한 인력을 외국인 노동자들을 도입하여 부랴부랴 교육시켜 현장에 투입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전문인력으로 거듭나기에는 다소 시간이 많이 필요할 듯합니다. 육체적으로 힘든 데다 인건비가 시장에서 요구하는 수준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지속된다면, 젊은 인력들을 끌어들이기 어려워 장기적으로는 결국 제조 기술 역량이 외국인들에게 이전되지 않을까 싶네요.
6. 매출과 재무
조선업계의 수주 호황에 힘입어 매출과 이익도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1년 1,158억 원이었던 매출은 2023년 10월 기준 1,478억의 누적 매출을 기록하였습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2021년 대비 크게 상승하였는데 이는 특히 코로나 규제 해소, 포항 2 공장, 대불 3 공장 등 신공장 운영 안정화 등을 통해 높은 수준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현대힘스는 무차입 경영으로 회사를 운영해 오다가 21년 말부터 생산능력 증대를 위해 새로 2 공장의 매입 및 증설 투자로 현금성 자산 감소와 차입금의 발생으로 부채비율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업종평균과 비교하면 재정상태는 양호한 편이며 안정적인 영업활동을 유지하고 공모자금을 통해 투자자금을 확보하면 재정의 안정성이 더욱 좋아질 것 같습니다.
7. 현대힘스 청약정보
현대힘스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는 총 8,707,000주로,
신주모집 5,224,000주 (60%)와 구주매출 3,483,000(40%)의 일반공모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공모희망가 밴드는 5,000 ~ 6,300원이며, 최저가액인 5,000원을 기준으로 한 모집총액은 435.35억 원입니다.
일반청약자 배정물량은 25~30%인 1,306,000 ~ 1,567,200주이며 모집총액은 65.3억 ~ 78.36억 원입니다.
대표주관회사는 미래에셋증권이며,
수요예측 일시는 2024년 1월 8일 ~ 12일이며, 공모가액 확정공고는 1월 16일입니다.
청약기일은 2024년 1월 17일 ~ 18일이며, 납입기일과 배정공고일은 22일입니다.
상장직후 유통가능물량은 상장예정주식수 34,824,000주의 약 22%인 7,662,160주로 30%를 넘지는 않습니다. 최대주주와 2대 주주의 지분 75%는 상장일로부터 1년의 의무보유기간을 설정하였습니다. 다만 최대주주인 허큘리스 홀딩스는 보호예수기간 후에 다른 투자자에게 지분을 매각할 예정인 것 같습니다. 경영권 변동 가능성이 매우 커 보이는 점은 참고해야겠습니다.
공모자금은 친환경 선박용 독립형 화물창 및 연료 탱크 제작을 위한 생산공장 및 설비 증설할 목적으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이상과 같이 현대힘스라는 기업과 조선산업의 전망을 살펴보았습니다. 노동집약적 산업이라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투자 산업군은 아니지만 조선업계에 엄청나게 물이 들어와 노젓기도 바쁜 상황인지라 공모주 시장에서 사람들의 주목을 끌만한 기업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참고할만한 글
이닉스(구 이닉스정호) 공모주 상장 청약정보 및 기업체크
1월에 코스닥 상장을 추진하는 이닉스라는 기업에 대해서도 살펴보려고 합니다. 지난번 글에서 살펴본 포스뱅크와는 일정이 비슷하지만 겹치지는 않네요. 이번 글에서는 이닉스라는 기업이 어
bluerain13.tistory.com
포스뱅크 공모주 상장 청약정보 및 기업확인
2023년 하반기에 공모주 청약시장에 큼직한 대어들이 상장하면서 반응이 뜨거웠는데요. 이번에는 내년 1월에 상장 예정인 포스뱅크라는 기업에 대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내년에도 이런 흐름이
bluerain13.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