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예멘 후티 반군과 예멘 내전에 대해 알아보자

by bluerain13 2024. 1. 5.
반응형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하마스 간의 분쟁이 결국 종교적인 문제로 확대되어 주변국들의 전쟁 참여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최근에 예멘의 후티 반군이 팔레스타인을 지원하는 이란 세력과 뜻을 같이 하여 탄압받는 이슬람인들을 돕는다는 명목으로 홍해를 통과하는 선박들을 공격하며 세계적인 물류대란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갑자기 등장한 예멘 후티 반군에 대해 알아보고 예멘은 어떤 사연을 가진 나라인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예멘후티반군-예멘내전

1. 예멘

예멘은 중동 아라비아 반도 남서부에 위치한 국가로 사우디와 인접해 있습니다. 지중해로 갈 수 있는 홍해의 입구에 위치해 있어 과거에는 동방 무역의 거점이었다고 합니다. 수도 아덴은 대영제국과 인도의 중간 위치하며 세계 2위의 거대한 항구도시였으며, 1960년대에 아라비아 반도에 석유가 발견되며 지역 제일의 석유화학 중심지로 부상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예멘-지정학적-위치
구글지도-아라비아반도-예멘위치

그러나 영국이 철수한 이후 끊임없는 내부 분열과 전쟁으로 자멸하며 완전히 몰락해 버린 나라가 되었습니다. 예멘은 이슬람 국가인데 시아파수니파로 나뉘어 대립하여 북예멘, 남예멘으로 분단되었었고 남예멘 내에서도 여러 토후국들과 수십 개의 세력이 병립하는 등 하나로 합쳐지기 어려운 분열하고 싸우는 국가인 것 같습니다. 그러는 사이에 가장 가난한 나라들 중의 하나가 되어버렸네요.

728x90

2. 분열과 내전의 역사

예멘은 1차 세계 대전 후에 북예멘과 남예멘으로 나뉘었습니다. 북예멘의 경우 공화국 수립 후 8년간 왕당파와 공화파의 내전을 거쳐 1970년에 공화국으로 확정되었습니다. 남예멘의 경우는 서부 지역은 따로 자치권을 가졌고 동부지역은 영국 보호령으로 3개의 술탄국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그 안에서도 수십 개의 토후국과 세력들이 병립해 있었으나 수에즈 전쟁으로 아덴항에 큰 타격을 입은 후 소련의 도움으로 공산국가가 되었습니다. 

북예멘-남예멘
북예멘(파란색)과 남예멘(빨간색)

 

북예멘은 시아파, 남예멘은 수니파로 대치하며 계속 다퉜는데 1990년에 평화적으로 통일을 합니다. 통일 후에는 시아파의 살레 대통령이 장기집권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2011년 아랍의 봄 사건 이후 독재로 장기집권한 살레 대통령이 쫓겨나고 수니파 하디 대통령이 집권을 하게 됩니다.

예멘통일-하디집권
엠빅뉴스 유튜브 영상 - 3분요약 ! 예멘에 난민이 발생하는 이유

 

쫓겨난 시아파 살레 대통령은 빼앗긴 권력을 다시 찾기 위해 후티반군과 연합하여 수니파 하디 대통령과 정부군을 공격하여 승리합니다. 

 

3. 내전이 국제전으로

패배한 수니파 하디는 사우디아라비아로 도망을 갑니다. 이유는 사우디가 수니파이기 때문입니다. 사우디는 같은 종파인 하디 부군을 지원하기 위해 UAE, 카타르, 이집트, 파키스탄, 모로코, 세네갈 등을 내전에 끌어들입니다. 

예멘내전-국제전으로
엠빅뉴스 유튜브 영상 - 3분요약 ! 예멘에 난민이 발생하는 이유

 

시아파 살레는 같은 시아파인 이란의 지원을 받습니다. 시아파인 이란수니파인 사우디는 천년이 넘도록 앙숙이었던 터라 예멘의 내전은 종교적 갈등에 의한 국제전이 되어버립니다. 예멘에서 이란과 사우디가 대결하는 꼴이 되어 버렸습니다. 여기에 수니파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인 알카에다까지 개입됩니다. 

 

4. 후티반군의 권력찬탈과 남부과도위원회의 등장

사태가 악화되자 시아파 살레 대통령사우디 세력에 휴전을 제안합니다. 이에 반발한 후티 반군은 살레 대통령을 처형하고 시아파 세력의 권력을 쟁취합니다. 한편 남예멘 쪽에서는 분리주의자들이 남부과도위원회를 결성하고 수니파 정부군과 전투 끝에 아덴 정부청사를 점령합니다. UAE는 변심하여 남부과도위원회를 지원하고 임시 수도 아덴을 점령하며 소코트라 섬을 점령하여 자신들의 영토로 삼으려 시도하였습니다. 그러나 사우디의 중재로 철수합니다. 

후티반군세력-정부군세력-남부과도위원회세력
초록색 북예멘 후티반군 세력 - 빨간색 남예멘 정부군 세력 - 황금색 남부과도위원회 세력 - 하얀색 알카에다

 

사우디 세력과 후티 반군은 약 4년 간 전쟁을 지속하다가 UN의 중재로 2018년 내전을 일시적으로 종료합니다. 그러나 몇 달 안가 다시 서로를 공격합니다. 2020년 경에 사우디가 코로나 확산 등으로 휴전을 선언하고 그 해 4월 남부과도위원회가 성명을 내고 예멘 정부와 분리된 자치 지역 수립을 선언합니다. 그리고 후티 반군은 북예멘 땅의 95%를 점령합니다. 이렇게 예멘 땅에는 세 개의 세력들이 외세를 등에 업고 대치하게 되었습니다. (북예멘 후티반군 - 이란, 남예멘 정부군 - 사우디, 남부과도위원회 - UAE)

반응형

5. 사우디와 이란의 휴전과 후티 반군의 이스라엘 공격

2023년 사우디는 이란과 관계를 회복하기로 하고 예멘 내전 간섭과 지원 중단의 움직임을 보입니다. 4월에 평화협상이 시작되고 내전이 잠잠해지던 중 후티 반군이 10월에 이스라엘에 선전 포고를 합니다.

후티반군-대변인
후티반군대변인-YTN뉴스

 

이스라엘 세력이 팔레스타인 무슬림 동족들을 공격하는 것을 좌시할 수 없다는 이란의 세력의 움직임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후티 반군은 현재 이스라엘 선박을 공격한다는 명분으로 홍해를 지나는 선박들을 연쇄공격하여 물류위기를 가중시키고 있으며, 얼마 전에는 미군함대가 후티반군의 소형 선박 3척을 격침시키기도 하였습니다. 


 

이상과 같이 후티 반군과 예멘 내전의 역사를 살펴보았습니다. 역사적으로 종교종파 문제로 하나로 합쳐지기 어려운 나라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여러 토후국과 세력들이 존재해 왔던 나라인지라 하나로 통합되기가 매우 어려워 보입니다. 권력 다툼에 눈이 멀어 예멘 국민들은 뒷전인 전쟁과 가난, 굶주림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안타까운 나라인 것 같습니다. 지리적으로 세계 물류의 중요 거점에 자리 잡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기들끼리 싸우느라 외세까지 끌어들여 제 살 파먹기를 하고 있네요. 그리고 후티 반군은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전쟁을 실질적으로 후원하고 있다고 평가되는 이란에게 이용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