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11월에 상장 예정인 에이에스텍 (ASTech)이라는 기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난주부터 공모주 종목들을 분석해 보는 글을 써보고 있는데 키워드 반복 때문인지 다음 검색에서 제 모든 글들이 통으로 날아가서 조회수가 0이 되고 검색이 안 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또 공모 관련 기업을 체크해 보는 글을 써도 되나 모르겠지만 검색되든지 말든지 제 맘대로 쓰고 싶은 글을 그냥 쓰려고 합니다. 이상 잡설은 여기까지 하고 에이에스텍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에이에스텍 (ASTech) 회사 개요
에이에스텍은 2005년도에 화장품 원료 제조와 신약개발 및 원료 의약품 개발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입니다. 수원에 기업부설연구소가 있으며, 본사와 생산공장은 충남 서천에 위치한 장항국가생태산업단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설립 초에는 의약품 원료 산업에 진출하였으며 여기에서 얻은 기술적 노하우를 통해 자외선 차단 원료 분야에 진출하여 본격적으로 이 분야에 집중하여 성장한 기업입니다.
2. 에이에스텍 (ASTech) 사업내용
에이에스텍은 자외선 차단제 원료 생산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력 원료 제품은 Uvimax DHHB라는 재료인 것 같습니다. 자외선 중에 피하조직까지 침투해 주름과 기미를 유발하는 피부 노화의 주범으로 UVA라고 합니다. 이를 차단하는 원료 중 유기 자외선 차단 원료는 '아보벤존'과 'DHHB'라는 재료라고 합니다.
아보벤존이 주로 사용되는 재료인데 이 재료는 옥토크릴렌 등과 같이 혼합해서 사용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옥토크릴렌이 포함된 자외선 차단제가 발암물질인 벤조페논으로 분해될 수 있다는 청원이 미국 FDA에 접수되었다고 합니다. 일단 최대 3% 배합 한도 내에서는 사용할 수 있도록 FDA에서 사용을 허가하고 있으나 부정적 인식이 커질 경우 유일한 원료인 DHHB를 사용해야 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3. 에이에스텍 (ASTech) 사업경쟁력
DHHB는 BASF라는 회사가 2020년까지 물질 특허를 보유하고 있었는데 에이에스텍은 특허 만료 이후 BASF의 제조방법 특허를 회피한 신규 제조방법 개발을 성공하여 해당 특허 출원 및 등록을 완료하였다고 합니다. 현재는 이 제조방법 특허 외엔 경쟁력 있는 제조방법이 없어 이를 대체할 시장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합니다.
그러나 DHHB는 아직 미국 내 FDA 제조 및 유통 허가를 받지 못한 상태이기 때문에 미국 내 생산 및 유통은 아직 불가능한 상태라고 합니다. 그러나 FDA 승인을 받은 아보벤존의 이슈로 DHHB 물질이 각광을 받고 있는 점은 긍정적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국내에서는 에이에스텍이 2039년까지 이 제품 제조 특허를 보유하고 있기에 타사가 현실적으로 진입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중국업체들이 DHHB를 BASF의 제조방식을 이용하여 생산 판매를 하고 있으나 에이에스텍은 이들보다 고품질의 제품을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공급하고 있다고 합니다. 현재 매출의 큰 비중은 독일 소재 화학회사 A사 향 Uvimax A의 매출이 전체 매출액의 약 78.48%을 차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현재 DSM이 에이에스텍과 독점 공급 계약을 체결하여 한국을 제외한 전 세계에 Uvimax A DHHB를 공급하기로 하여, DSM향 매출 역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외에 UVA, B 동시 차단 원료인 BEMT-S 소재를 직접 생산하기 위해 2023년 11월 공장 증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합니다.
4. 글로벌 자외선 차단 소재 시장 전망
화장품 소재 시장은 완제품 시장에 큰 영향을 받으며, 자외선 차단제 시장은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에 대한 인식으로 꾸준히 성장해 왔다고 합니다. 다만 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한 외부활동 제약으로 자외선 차단제 소비가 감소했었으나 최근 시장이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글로벌 화장품 시장은 연평균 5.1~5.8% 성장률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고 합니다. 한 리서치 기관에서 예측한 자료에 의하면 글로벌 자외선 차단 소재 시장은 2021년 484백만 달러에서 2027년 671백만 달로 연평균 성장률 5.6% 전망하고 있어 성장이 빠른 시장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5. 에이에스텍 매출과 재무
2020년을 기점으로 최근 3년 매출액 성장률이 89.6%에 육박하고 영업이익은 이 기간 261.8% 상승하였습니다. 2023년 1분기 매출액이 이미 전년도 매출액의 73%로 성장하였고, 영업이익은 63억으로 전년도 실적을 뛰어넘었습니다.
다만 부채비율이 높은데 이는 공장 증축 및 시설투자 때문인 것 같습니다. 그래도 23년 상반기까지 증가한 이익 덕분에 부채비율이 많이 감소되고 있습니다. 현재 제1공장 증축 공사를 진행 중에 있으며, 제2공장 신축계획을 갖고 있는데 제2공장에 소요되는 설비투자 금액이 약 300~350억 원이라고 합니다. 이번 공모자금 약 176억 원을 제2공장 설비투자에 사용할 예정이며 부족분에 대해 차입금이 증가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설비투자 계획은 2025년까지이며 증설 계획이 완료되면 생산 Capa는 현재 DHHB 연간 600톤에서 2배인 1200톤 규모로 증가될 예정이며, BEMT-S 500톤/년, TDSA 360톤/년, EHT 360톤/년으로 크게 확장될 것이 기대된다고 합니다. 늘어나는 수요일 현재 Capa로 감당이 되지 않기 때문에 설비 투자를 진행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6. 에이에스텍 공모주 청약 정보 수요예측
총 140만 7000주를 모집할 예정이며 신주 60%인 84만 4000주와 구주매출 40% 56만 3000주입니다.
구주매출을 뺀 공모자금 규모는 176 ~ 211억으로 제2공장 증축 및 설비투자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11월 13일까지 수요예측 진행되었고 15일 공모가가 28,000원으로 확정 발표되었습니다.
기관수요예측에 1969개 기관이 참여했고 공모가밴드 금액 상단의 25,000원보다 더 비싼 30,000원 구간에 베팅한 기관이 75.1%나 되네요. 기관경쟁률은 629.95 : 1이며 기관의무보유확약 비율은 8.66%입니다.
청약일은 이번 주 목요일인 11월 16일부터 17일 금요일까지 진행됩니다. 주관사는 미래에셋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