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선택장애를 극복하고 좋은 결정을 하기 위한 팁

by bluerain13 2023. 10. 4.
반응형

선택을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우리는 매일 매 순간 선택을 해야 합니다. 아침을 뭘 먹을지, 무엇을 입을지와 같은 사소한 선택들부터 결혼을 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와 같은 큰일들까지 우리는 항상 선택을 해야 합니다. 유독 선택하는 일이 어려워 남에게 항상 물어보게 되는 사람들을 위해 스스로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만한 내용들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1. 퍼스트 체스 이론

프로 체스선수에게 체스판을 보여주고 5초 만에 '다음 수'를 내게 한 결정과 30분 후에 다시 '다음 수'를 내게 한 결정은 86퍼센트가 일치했다고 합니다. 즉, 직감적으로 떠오른 판단인 첫 판단은 보통 정확하다고 합니다. 오래 생각하고 고민해 봤자 내가 내리는 판단이 크게 달라지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단, 이 실험은 프로 체스 선수가 전문 분야에 대해 내린 결정에 대한 실험입니다. 그 분야에 대해 전혀 알지도 못하는 데 5초만에 판단하는 것과 30분의 고민 끝에 판단하는 것을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자신이 아는 분야에서 중요한 선택을 내릴 때 참고할만할 것 같습니다.   

 

2. 정보가 많다고 선택을 잘하는 것은 아니다

'최선의 선택'을 위해 우리는 정보를 수집합니다. 그러나 정보만 수집하다가 머리가 복잡해져 더 선택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정보가 많다고 해서 최선의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것이 보장되진 않습니다. 네덜란드 네이머헌 라드바우대에서 두 팀으로 나누어 더 좋은 중고차를 선택하는 실험을 하였습니다.

 

실험한 결과에 의하면 제한된 정보만을 가지고 선택한 B 팀이 많은 정보를 가지고 판단을 내린 A 팀 보다 무려 60%의 확률로 더 잘 맞추었다고 합니다. B 팀은 제한된 정보 내에서 빠른 시간안에 최적의 판단을 내린 반면, A팀은 많은 정보 때문에 오히려 선택에 어려움을 겪었던 것입니다. 너무 많은 정보가 때로는 선택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반응형

3. 선택의 만족도는 '동전던지기'로 정해도 마찬가지다

미국 시카고대의 경제학자 스티븐 레빗이 동전 던지기로 실험한 결과에 따르면 무려 63%의 사람들이 동전 던지기로 정한 결정에 따라 행동한 결과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고 합니다. 즉, 고민보다 결정을 하고 실행을 하는 것이 인생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며 고민을 하고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것은 어쩌면 스스로 스트레스를 키우고 자신을 앞으로 나가지 못하게 하는 훈련을 하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스스로 내린 결정을 받아들이고 그 선택이 올바른 것이 되도록 노력하는 것이 바로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길인 것 같습니다. 

 

4. 초초함은 최악의 결정과 행동을 초래할 수 있다

 초조함은 사고를 흐리게 만듭니다. 그리고 이상한 결정을 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내가 산 주식이 떨어지고 있다고 가정해 봅니다. 투자한 금액이 크다면 정신이 아득해질 것입니다. 큰 손해를 보면 이를 만회하기 위해 냉정함을 잃고 위험을 무릅쓰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럴 때 일수록 손해에 대한 반응을 직시하고 의식적으로 충동을 억제해야만 나 스스로가 결과에 대해 받아들일만한 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손해에 매몰되어 만회를 위해 계속 무리하다 보면 잘못된 결정들이 중첩되며 더 좋지 않은 결과들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5. 비교하는 마음에서 자유로워질 필요가 있다

미국의 사회심리학자 레온 페스팅거는 "사람은 정확한 자기 평가를 위해 사회 비교 social comparison을 한다"라고 합니다. 사회에서 살아가려면 나는 누구인지를 아는 것이 유리한데 가장 편한 방법이 다른 사람과의 비교를 통해 자신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즉, 인간이 사회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중요한 기능입니다. 

 

다만 이 기능에 너무 매몰되면 끝없는 비교로 매사에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시간만 허비하거나 의욕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됩니다. 그러므로 비교하는 마음이 든다면 그 마음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모든 것을 비교해서 결정하지 말고 때로는 자신의 직감적, 감각적 판단으로 결정하는 것도 자신의 결정력을 키우는데 필요한 방법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