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바이오 섹터에도 관심을 가져 볼 만한 시기가 되었나? 월배당 ETF TIGER 글로벌비만치료제 TOP2Plus

by bluerain13 2024. 3. 25.
반응형

코로나 시기에 시장에 넘쳐흐른 유동성과 맞물려 바이오산업군의 주식들이 크게 주목을 받았다가 현재는 주식시장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소외되어 있는데요. 

 

세계적인 고령화 추세와 더불어 웰빙을 추구하는 대세적인 흐름은 꺾이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에 결국 언젠가는 바이오 섹터도 다시 주목을 받게 될 시기는 또 올 것이라 생각합니다. 

 

저는 바이오산업 쪽은 타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이 덜한데, 얼마 전 미래에셋에서 출시한 월배당 ETF에 관심이 가네요. 바로 비만치료제시장을 주도하는 글로벌 Top Tier 기업 두 곳에 무려 50% 이상의 비중을 투자하는 ETF입니다. 


1. 헬스케어 섹터의 다음 먹거리

팬데믹 기간에는 코로나 치료제 개발 소식에 주가가 크게 요동치고 난리도 아니었지요. 이제 코로나19는 감기 수준으로 치부되기 때문에 사람들의 관심에서 멀어졌습니다. 

 

헬스케어 섹터는 코로나 치료제뿐만이 아니라 원격진료 등의 의학과 IT 기술이 융합된 새로운 건강관리 사업이라는 테마로 앞으로도 꾸준히 개발되고 발전될 산업이기에 성장성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헬스케어섹터
헬스케어섹터 / 출처 - 미래에셋증권 New ETF Insight VOL.29

그러나 아직은 일반 대중에게는 뭔가 좀 모호할 수도 있습니다. 당장 빠른 시일 내에 획기적인 뭔가가 나올 것 같지는 않은 것 같거든요. 

그런데 비만치료제라면 어떨까요? 우리나라에서는 크게 느끼지 못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비만은 아주 커다란 사회적 이슈라고 합니다. 미국은 성인 인구의 42%가 비만이며, 서양권 전체적으로는 과반 이상이 과체중 혹은 비만이라고 합니다. 

 

2. 만병의 근원 비만, 천문학적인 사회적 비용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심혈관 질환 등의 각종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는 근원인 비만은 미국 사회에서는 질병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합니다. 

나라별-성인-비만-과체중-비율
나라별 성인 비만 및 과체중 비율 / 출처 - 미래에셋증권 New ETF Insight VOL.29

전 세계 비만 환자 수는 지난 50년간 세 배 이상 증가했고, World Obesity Atlas에 따르면 2035년에는 전 세계 인구 절반이 과체중이거나 비만일 것으로 추정하였다고 합니다. 

비만의사회적비용
비만의 사회적 비용 / 출처 - 미래에셋증권 New ETF Insight VOL.29

미국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 of Health)에 의하면 비만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2035년에 전 세계 GDP 3%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할 만큼 서양권에서는 비만에 대한 경각심이 높습니다. 

 

3. 일라이 릴리가 헬스케어 분야 1위로 오른 이유

헬스케어 분야에서 오랜 기간 Top의 자리에 있던 회사들은 존슨 앤 존슨과 유나이티드 헬스 그룹이었는데, 2024년 1월에 이들을 제치고 일라이 릴리가 1위에 등극했습니다. 

일라이릴리
일라이 릴리의 약진 / 출처 - 미래에셋증권 New ETF Insight VOL.29

일론 머스크가 사용 후 효과를 봤다는 비만치료제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의 처방을, 후발주자로 나선 일라이 릴리의 '젭바운드'가 빠르게 따라붙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젭바운드'가 추월한 모양입니다. 

비만치료제-성장전망
비만치료제 시장 성장 전망 / 출처 - 미래에셋증권 New ETF Insight VOL.29

그리고 빠르게 늘어나는 처방은 당뇨, 비만 치료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 잠재력을 보여주는 지표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2030년 전 세계 비만, 당뇨 치료 시장은 1050달러(140조 원)까지 성장이 전망된다고 합니다. 

 

4. 비만치료제 글로벌 Top 2, 그리고 뒤따르는 글로벌 빅파마 기업들

현재 비만 치료제 시장을 리드하고 있는 기업은 위에 언급한 '일라이 릴리'와 '노보노디스크'이며, 점유율이 90%에 육박할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노보VS릴리
노보 VS 릴리 시장 점유율과 M&A 및 라이선싱 계약 / 출처 - 미래에셋자산운용 홈페이지

또한 머크, 리제네론 등의 글로벌 빅파마 기업들 역시 후발주자 혹은 비만치료제와 함께 처방될 수 있는 약물에 대한 임상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하니 비만치료제 시장에서의 경쟁이 치열해질 것 같습니다. 

 

반응형

5. TIGER 글로벌비만치료제 TOP2 Plus ETF

이 ETF는 비만치료제 시장에 뛰어들고 있는 글로벌 빅파마 기업들에 집중투자하는 ETF입니다. '일라이 릴리'와 '노보노디스크'의 비중이 약 56%이며, 타 글로벌 빅파마 기업들에 대한 투자비중도 포함하였네요. 

TIGER-글로벌비만치료제Top2Plus-구성종목
TIGER 글로벌비만치료제Top2Plus 구성종목 /   출처 - 미래에셋증권 New ETF Insight VOL.29

이 기업들은 팬데믹 기간 동안 백신과 치료제 판매 호조로 많은 현금을 쌓아두고 있는 기업들입니다. 배당재원이 많은 기업들이라 월배당 ETF로 운용한다고 하네요. 2월에 출시된 것 같은데 아직 분배금은 지급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요즘 월배당 ETF 상품들이 많이 출시되는 데 이 ETF는 커버드콜 전략이 융합된 상품은 아닌 점이 메리트가 있는 것 같습니다. 

월배당ETF
글로벌 빅파마 현금자산 추이와 잉여현금흐름

Indxx Global Obesity Treatment Top 2 Plus Index를 기초지수로 하고 총보수는 연 0.45%라고 합니다. 


이상으로 글로벌비만치료제 ETF에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위의 내용은 미래에셋증권의 New ETF Insight Vol.29에 소개된 내용을 토대로 참고할만한 내용들만 추려서 간단히 정리한 글입니다. 

 

시장의 섹터가 소외되어 있을 때 시간을 두고 조금씩 관심을 가질만한 분야가 아닌가 싶어서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관심이 있으신 분들께는 참고가 될만한 내용이었으면 좋겠네요. 

반응형